스페셜티 커피 썸네일형 리스트형 로스팅의 겉과속은 달라도 되지 않을까? 잘 된 로스팅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로스팅에 관해서 이야기를 할 때 겉과 속이 잘 익으면 잘 된 로스팅이라고 말을 한다. 정말 그럴까? 이 이야기는 도대체 어디서 나왔을까? 소위 우리가 말하는 아그트론 커피의 원두였을 때의 상태와 분쇄했을 때의 아그트론이 같다. 같아야 할까? 같지 않거나 편차가 있으면 안 좋은 걸까? 겉과 속이 이븐 하게 익어야지만 좋을까? 어쩌면 우리는 아무런 의심 없이 책에 있는 내용을 신봉하거나 또는 로스팅에서 수상한 챔피언들의 말을 너무 맹목적으로 믿는 게 아닌가 싶다. 나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를 전개해볼까 한다. 우리는 모든 걸 의심하면서 나아가야 한다. 1. 아그트론은 참고 자료일 뿐. 로스팅을 했을 때 겉 65 시티 속이 65.3 정도가 나온 적이 있었다. 거의 숫자.. 더보기 커핑 기본 용어정리 우리가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 어려운 이유가 있다면 아마도 처음 해보는 일이며 많은 정보 중에 무엇을 먼저 봐야 하는지에 대해서 잘 모를 때가 많아서 어디로 가는지 잘 모를 때가 있다. 커피일을 시작하면서 내가 믿었던 것들이 잘못된 거였구나를 시간이 지나서 알았을 때 때로는 부끄러웠던 기억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커피에서 제일 중요한 건 무엇일까? 매장을 창업 또는 바리스타로 근무를 할 때나 로스터로 근무를 하고 있거나 Q.C팀 소속 품질 관리에서 일을 한다면 무엇을 먼저 알아야 할까? 각 각 다른 포지션이긴 하지만 공통으로 중요한 게 있다면 커피 센서리이다. 무엇이 좋고 나쁘고를 더 나아가서 내가 어떻게 인지를 하고 있는지 또한 커피에서 쓴맛이 났다고 하면 좋은 쓴맛인지? 나쁜 쓴맛인지? 에 대해서도.. 더보기 커피 센서리 향상 시키는 방법 (핵심) 오늘은 평소보다 짧게 이야기를 한다면, 이런 말을 하고 싶다. 커피 센서리에 대해서 사람들이 궁금해하고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같은 커피를 마셔보고 이야기를 나눌 때 “나는 못 느끼는데 저 사람은 잘 느끼네?” 아 저 사람이 더 잘하는구나!라는 함정에 속지 말자! 타인이 생각하는 의견을 듣는건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게 있다면 , “나” 는 어떻게 느끼고 있나?라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또한 많은 걸 느낀다고 해서 또는 슬럽핑 소리가 크다고 해서 잘하는 게 아니다. 실력이랑 별개라고 말을 하고 싶다. 목소리 크다고 노래를 잘하는게 아니다. 결론은 내가 어떻게 커피의 맛을 느끼고 인지하는지 숫자로 나눠서 생각을 해보는 것도 좋다. 물론 너무 사람들과 크게 달라지거나 그러면 다시 한번 되돌아보자. .. 더보기 커핑에서의 디펙트 어떤 관점으로 바라 볼 것인가? 종종 퍼블릭 커핑을 할 때 이거 디펙트인가요? 라는 질문을 받을때가 있다. 그때마다 나도 고민을 하게 되고 어떻게 이걸 디펙트라고 생각을 해야할지에 대해서 생각이 든다. 내가 Q - grader 를 통해서 디펙트 관련해서 배울때는 4가지로 1.페놀 , 2 포테이토 3 곰팡이 4. 과발효. 샘플 커피 1개를 총 5컵으로 균일성을 본다. 하지만 5개중 디펙트가 들어가 있는 컵이 있다면 점수를 깎는다. 하지만 일반 퍼블릭 커핑때는 어떨가? 큐 과정에선 향과 맛이 뚜렷해야지 디펙트라고 배웠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퍼블릭 커핑때는 어떤가? 조금만 디펙트를 느낀다면 디펙트로 간주 할 것인가? 뚜렷해야 디펙트로 간주 할 것인가? 그 전에 올바른 디펙트를 구별을 하고 있나? 예를 들어 르완다 또는 브룬디 커피에.. 더보기 좋은 커피가 뭘까? 커피를 하면서 좋은 커피에 대해서 의문이 생겼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COE 아니면 스페셜티 커피는 당연 좋은 커피라고 말을 할 수가 있다. 하지만 나에게 좋은 커피는 과연 앞에서 말한 커피들이 맞을까?라는 질문이 생긴다. 커피업계에서 좋다고 말하는 커피는 맛과 향이 뚜렷하며 커피가 깨끗하며 좋은 맛이 긴 여운으로 가는 걸 뜻 한다. 누군가는 그렇다면 비싸고 좋은 게이샤 커피가 좋다고 말을 할 수 있을 거 같다. 나는 게이샤가 좋다는 걸 알지만 개인적으로는 선호하지 않는다. 1번째 가격이 너무 비싸다. 카페를 운영한다는 건 결국 비즈니스를 한다는 말이고 비즈니스를 한다는 건 내 손에 돈이 들어와야 하는데, 아메리카노 한잔이 4천 원에 판매할 생각이라면 게이샤 같은 비싼 커피는 1킬로당 4만 원에서 .. 더보기 집에서 커피를 손 쉽게 내리는 방법. 카페에서 커피를 계속해서 사서 마시자니 부담스럽고 그렇다고 대충 내려서 먹고 싶지는 않을 때? 어떻게 하면 집에서 손쉽게 내려마실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있을 때가 있다. 오늘은 집에서 카페에서 내려마시는 것처럼 맛있게 내리는 방법에 이야기하고자 한다. 커피기구가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면 이렇게 해보자. 준비물 1. **커피 원두**: 신선한 원두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핸드드립 용 드리퍼**: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드리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지만. 플라스틱 드리퍼를 추천한다. 저렴하고 가볍다. 3. **필터**: 드리퍼에 맞는 필터를 준비합니다. (종이필터)4. **주전자**: 전용 구스넥 주전자가 있으면 좋지만, 일반 주전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저울**: 원두의 정.. 더보기 이전 1 다음